성북동에 가면 부자와 빈자의 차이가 집의 크기에서 생기지만 햇볕을 받고 그렇지 않음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을 알게 된다. 성벽의 아래와 계곡의 북사면에는 작고 허름한 집들이 많은 반면 남쪽으로 향한 곳에 큰집들이 많다. 공교로운 것은 이런 곳이 했볕을 많이 받기는 하지만 경사가 심하다보니 번번한 터가 많치 않다는 것이고 몇몇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등고선을 따라 길과 집이 배치가 되다보니 길과 수평인 방향으로는 대지가 길지만 경사진 직각의 방향으로는 폭이 짧고 급한 현상이 생긴다. 이런 문제를 만회하면서도 평평한 땅을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법이 바로 축대를 쌓는 것이었다. 그래서 성북동에 가면 높은 축대가 유난히 많은데 그것 또한 위세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다. 이 집이 꼭 그랬다. 남북방향으로는 짧고 동서 방향으로는 긴 대신 그 대가처럼 높은 축대를 안고 있다. 희한한 것은 3층 규모의 건물이면서도 외부공간과 실내면이 직접 맞닿는 곳은 없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선택으로 인한 고질적 문제가 바로 외부공간의 활용은 고사하고 반개층을 계단을 통해 내려가야 하다보니 출입의 수고로움으로 잡초로 우거진 외부공간을 목전에 두고 사는 경우까지 생기고 만다. 이 집이 꼭 그랬다. 그렇다고 해서 낮은 지형을 이용해 만들어진 지하층에 있는 주차장으로 부터 직접 출입이 되는 것도 아니었다. 흔히 말하는 반지하의 애매함인데 이 집이 바로 그랬다. 우리는 애초의 지형을 복원하여 땅과 집이 단절된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여기서 말하는 회복이란 그것이 목적이 아니라 절토되어 축대로 들어난 부분을 흙으로 흙으로 덮혀진 부분은 지하층의 바닥레벨까지 파내면서 생긴 경사진 지형이 지하층부터 3층의 바닥까지 한꺼번에 연결될 수 있도록 루트를 만드는 것이었다.

When one visits Seongbuk-dong, one will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not only from the sizes of the hoses but also by how much sunlight hits the house. Whereas there are many small and worn-out houses underneath the castle wall and to the North of the valley, to the South, there are many large houses. Although in such locations there is a lot of sunlight, the slope is very steep and there aren’t many decent grounds on which to build a house.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to flatten out the ground with an embankment. An embankment is commonly visible in Seongbuk-dong, and they are sometimes used to represent power. That was the case for this house as well. It is very narrow running far, from North to South, and wide, from East to West, and as a result is built a ground up higher with embankment. The odd thing is that although it is a three-story building there was barely any interaction between the exterior and interior areas of the house. Thus, not only is the use of outer space impossible, but creates a very inconvenient entranceway covered by weeds as well. That was the case for this house. It was not possible to enter the house from the garage in the basement. The basement was not being fully utilized. We decided to solve this problem by creating a path that can connect the embankment from the basement all the way to the third floor.

 

 

작품기고, SPACE No. 571. 2015.06

  • Project Type House
  • Project Year 2013
  • Location Seongbuk-dong, Seoul
  • Area 380.0 sqm